가이드라인
Guidelines
신뢰성, 오락성, 최종 시안에 대한 총 60번의 사용성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신뢰성과 오락성에 대해 균형을 갖추면서도 기존 나무위키보다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추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용도와 목적에 맞도록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추천 가이드라인
폰트는 민부리로만 통일한다.
제목과 본문에 모두 민부리 서체를 적용할 때 부리 또는 민부리/부리를 혼합했을 때보다
높은 합계 점수와 선호 순위를 보였다. 따라서 서체는 민부리로 통일해서 적용한다.
제목과 본문에 모두 민부리 서체를 적용할 때 부리 또는 민부리/부리를 혼합했을 때보다
높은 합계 점수와 선호 순위를 보였다. 따라서 서체는 민부리로 통일해서 적용한다.
주관과 유머를 서술하되, 원하면 구분해주도록 한다.
사실, 주관, 유머를 색으로 구분했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모든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텍스트를 색으로 구분할 수 있게 한다.
현재 나무위키는 사실과 주관, 유머가 이렇다할 구분 없이 혼재되어 서술되는 상태이다.
이러한 형태는 사실과 의견을 혼동시켜 나무위키 전체의 신뢰성을 저하시켰다.
어투와 문체는 편집자의 자율성에 따라 다양성을 가지기로 한다.
어투와 문체의 경우, 객관적/중립적으로 통일되었을 때와 주관적/사견/다양성이 있었을 때가
크게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자율성의 여지가 더 크고 기존 나무위키가 가지고 있는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 주관적/구어체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어투와 문체가 객관적/중립적으로 일관되면 신뢰성은 다소 높아지나, 그 영향이 미미하고
가치판단 등의 서술에서 여지가 좁아지기 때문에 지양하기로 한다.
각주는 출처와 사견을 분리하도록 한다.
각주에 출처와 사견이 함께 제공되었을 때 심미성과 선호도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각주는 출처와 사견을 분리하여 함께 제공한다.
각주에 출처만 제공되면, 출처와 사견이 동시에 제공될 때에 비해 편리성과 오락성이 소폭
하락하였고, 합계 점수 역시 하락하였다. 따라서 각주에 출처만 제공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하이퍼링크는 호버하면 정보를 제공해주기로 한다.
호버했을 때, 해당 문서의 정보를 제공하는 시안과, 사진과 요약 설명을 제공하는 시안이
그렇지 않을 때보다 신뢰성과 오락성 측면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받았음으로 적용한다.
현재 나무위키는 하이퍼링크에 호버 했을 때 이렇다할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하피어링크에 호버했을 때 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면 불편하다는 응답 또한 관찰되었다.
목차는 본문과 분리해서 스크롤 연동이 되게 한다.
UX 구성요소 중 문서 상단에 목차가 고정되어 있는 나무위키의 방식이 불편하다는 응답이
다수 관찰되었다. 따라서 목차를 분리해 사용자가 아래로 스크롤 시 따라서 내려오도록
디자인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가 문서의 상단에 고정되어 있을 때, 내용을 읽으며 목차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는
응답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고정된 목차는 적절하지 않다.
광고는 필요하면 상단과 하단에만 위치하도록 한다.
광고가 없는 시안이 있는 시안보다 모든 측면에서 큰 격차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따라서 가능할 시에 사용자가 보는 스크린에는 광고를 표시하지 않도록 한다.
불가피하게 광고를 배치해야 한다면, 문서의 최상단과 최하단에서만 제공한다. 최상단/최하단에만 배치될 경우, 크게 거슬리지 않는다는 응답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문서의 중간에 광고가 배치될 시, 몰입이 깨진다는 주관식 응답이 다수 관찰되었다.
따라서 최상단과 최하단 이외의 위치에 광고를 배치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신뢰성 집중 가이드라인
추천 가이드라인 이외에 신뢰성에만 집중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3번의 사용성 평가 결과에서 신뢰성에만 치중한 디자인이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기
때문이다.
추천 가이드라인은 신뢰성과 오락성 양 측면을 모두 적절하게 고려하였으나, 아래의 가이드라인은 오직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구성하였다.
민부리와 부리 서체를 혼합했을 때 가장 신뢰도가 높다.
제목에 민부리, 본문에 부리 서체를 사용한 시안(D3)이 민부리 단독(D1), 부리 단독(D2)
사용 시안 보다 높은 신뢰성을 보였다. 따라서 신뢰성에 집중하기 위해 민부리와 부리를
혼합해 사용한다.
문서 내용의 사실, 주관, 유머를 구분한다.
사실, 주관, 유머를 색으로 구분했을 때,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신뢰성을 포함한 모든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텍스트를 색으로 구분할 수 있게 한다.
어투와 문체는 객관적, 중립적으로 완성형 문장을 쓴다.
객관적, 중립적 어투를 사용한 시안(D6)이 주관적 어투를 사용한 시안(D1) 보다 높은 신뢰성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신뢰성에 집중하기 위해 객관적, 중립적, 완성형 문장을 사용한다.
각주는 출처와 사견을 분리할 때 신뢰성이 상승한다.
각주에 출처만 제공된 시안(D1)과 사견만 제공된 시안(D7)에 비해 출처와 사견을 각각
분리해서 제공한 시안(D18)이 가장 높은 신뢰성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각주는 출처와
사견을 분리하여 함께 제공한다.